분류 전체보기23 류마티스 관절염과 퇴행성 관절염 비교 무릎에 통증이 생겨서 병원을 찾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게 되면, 주로 관절에 염증이 생겼다며, 관절염 진단을 받게 됩니다. 이때 의사 선생님께서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 등의 진단명을 말씀해 주십니다. 진단명을 막상 듣게 되면, TV 광고에서 보거나 주변 사람들에게 이야기로 많이 들어 익숙합니다. 하지만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워 금방 잊어버리기도 하고, 반대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먼저 류마티스 관절염은 류마토이드 관절염으로도 부릅니다. 퇴행성 관절염과 골 관절염, 뼈 관절염은 동일한 관절염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즉 "류마티스 관절염 = 류마토이드 관절염"이고, "퇴행성 관절염 = 골 관절염 = 뼈 관절염"입니다. 오늘은 관절 통증으로 병원에 가면,.. 2023. 4. 23. 손가락 뼈와 운동 여기서 알려드리는 관리와 운동법은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전문의 혹은 담당 선생님이 제시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손상 상태와 환경이 다른 만큼 여러분을 가장 잘 알고 있는 담당 선생님의 의견을 따라주세요. 손은 우리 몸에서 발 다음으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고, 다른 부위에 비해 작습니다. 하지만 기능적인 면에서 가장 소중한 부위 중 하나라 생각됩니다. 일상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곳이며, 정교하고 복잡한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손과 손가락 관절들이 각자의 역할을 잘해줘야 합니다. 복잡한 만큼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하기 때문에 손의 움직임을 이해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특히 도수치료나 운동치료 동안 작은 관절로 여러 운동들을 수행하여.. 2023. 4. 20. 발목 삠(염좌) 손상 후 운동 관리 여기서 알려드리는 관리와 운동법은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전문의 혹은 담당 선생님이 제시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손상 상태와 환경이 다른 만큼, 여러분을 가장 잘 알고 있는 담당 선생님의 의견을 따라주세요! 치료를 할 때, 종종 환자분들이 "언제까지 움직이면 안 되나요?" 혹은 "언제부터 운동을 시작하나요?"라고 물으십니다. 더 나아가 "지금 시기엔 어떤 운동을 하죠?" 혹은 "앞으로 일터로 복귀하기 위해, 손상된 발목의 회복이 얼마나 진행돼야 합니까?" 등등을 물으십니다. 오늘은 발목 삠 손상 후 시기별, 혹은 목적별 운동을 알아보고 활동 복귀를 위한 기준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Musculoskeletal Interventions(3rd ed)와 Clinical Or.. 2023. 4. 16. 어깨 보조기(울트라 슬링) 혼자 착용하는 방법 여기서 알려드리는 관리와 운동법은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전문의 혹은 담당 선생님이 제시하는 기준과 다를 수 있습니다. 손상 상태와 환경이 다른만큼 여러분을 가장 잘 알고 있는 담당 선생님 의견을 따라주세요! 회전근개 재건 수술 후 어깨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중에 하나라 생각됩니다. 수술 후, 첫 운동치료 때 보조기 착용방법에 대해 잘 설명드립니다. 하지만 익숙해지는 데는 시간이 조금 필요한 것 같습니다. 물론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자주 탈착용을 반복하면) 대부분 익숙해집니다. 수술 회복 초기에도 약속된 운동을 위해 병실과 집에서 하루에 2~3번 보조기를 탈착용해야 합니다. 스스로 능숙히 착용할 수 있다면, 여러모로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며,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가끔 홈 프로그.. 2023. 4. 1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