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알려드리는 관리와 운동법은 일반적 경우입니다. 전문의 혹은 선생님이 제시하는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손상 상태와 환경이 다른 만큼 여러분을 가장 잘 알고 있는 담당 선생님의 의견을 따라주세요!
무릎 수술 후, 통증과 삼출 때문에 움직이기 어렵습니다. 체중을 지지하려 하면, 통증이 증가하기 때문에 걷기도 힘듭니다. 수술 후 주로 상처가 덧나거나, 혹시 움직일 때 무릎에 무리가 갈까 봐, 주로 침대에 누워서 휴식만 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휴식만 지속하게 된다면, 무릎관절이 구축되어 다리가 굳게 되고 근육의 위축으로 다리 근육이 빠지게 됩니다. 당연히 기대하던 회복 수준은 도달하지 못할 것입니다. 따라서 활동적인 일상과 일터로의 정상적 복귀가 연기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술 후 초기부터 운동을 하셔야만 정상적인 회복을 할 수 있습니다. 불편하시더라도 마음을 강하게 먹고 아래에 운동을 시도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의 내용들은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 Team Approach(4th ed)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수술 후 침상운동을 2~4시간 내에 시작하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Giangarra, et al. 2019). 오늘은 무릎 전치환 수술 후 4주 이내에 실시하면, 도움이되는 운동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무릎관절 가동범위를 증가하기 위한 스트레칭 방법은 "깁스제거 후 초기 무릎 자가 운동관리" 편에 자세히 소개했습니다. 꼭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수술 초기 운동방법
- 수술 후 1일~ 1주
: RICE; R(resting 휴식), I(Icing 한랭치료), C(compression 압박), E(elevation 거상)을 기본으로 수행합니다.
① 침상운동: 발목 펌프운동,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등척성 운동, 다리 모으기 운동, 다리 들어 올리기 운동
각 운동은 1세트(10회)로 3~4세트, 1일 3회 반복합니다. 수술 후 초기에는 오랜시간 힘을 주고 유지하게 되면, 상처로 피가 나올 수 있습니다. 5초 이하로 운동을 합니다. 상처가 아물면, 10초 이상으로 진행합니다.
-발목 펌프운동: 다리의 부기를 줄이는 운동입니다.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놓고 발목을 당기고 밀기를 반복합니다.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등척성 운동: "Q(큐)-세팅운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위축을 줄이기 위해 진행되는 운동입니다. 오금밑(무릎밑)에 수건을 넣어 놓습니다. 오금으로 수건을 누르고 유지합니다.
-큰볼기근(대둔근) 등척성 운동: 무릎을 펴고 바로 누워, 종아리나 발뒤꿈치를 수건이나 베개에 위치시킵니다. 다리에 힘을 주고 수건과 베개를 밀어 엉덩이에 힘이 들어 가게 합니다.
-다리 모으기 운동: 무릎을 구부리고 바로 누워 양 무릎 사이에 공이나 수건을 끼웁니다. 양 무릎을 모으는 힘을 주고 유지합니다.
-다리 들어올리기 운동 : 걷기 위해서는 엉덩이 굽힘근과 넙다리 네갈래근(대퇴사두근)의 힘이 필요합니다. 이 근육들의 근력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입니다. 바로 누운상태에서 발목을 당기고, 무릎을 편채로 들어 올립니다. 가능하다면, 반대 발끝 높이에 맞추어 올립니다. 발끝 높이까지 다리올리기가 가장 힘든 운동 수준입니다. 더 높게 들어 올리면 운동이 오히려 더 쉬어집니다.
② 관절가동범위 증가 운동: CPM, 발뒤꿈치 미끄러짐 운동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 4일째까지 CPM 운동 동안 40도 각도에 도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10도씩 증가를 목표로 실시합니다. 최소 60 ~ 90도 각도까지 무릎 굽힘의 각도가 유지되어야 하며, 퇴원전까지 90도의 능동적 보조 관절가동범위가 가능해야 합니다.
-발뒤꿈치 미끄러짐 운동: 바로 누워 발바닥이 벽에 닿게 합니다. 벽을 따라 발뒤꿈치를 당겨 무릎 구부기를 유지합니다. 무릎을 펴기와 구부리기를 반복합니다.
③ 보행훈련
-워커이용 보행훈련: 바퀴 달린 워커를 이용해 45.7m(약 50미터) 이상을 목표로 하고 훈련합니다.
-부분적 체중부하 훈련: 침대나 책상에 엎드려 체중을 주고, 수술 다리에 체중을 주는 훈련을 실시합니다.
- 수술 후 1~4주
: 부분적 체중부하운동에서부터 완전 체중부하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합니다. 무릎의 완전신전 및 정상 보행을 목표로 운동이 진행되며, 무릎의 굽힘을 이전보다 더 증가시킵니다. 필요시 RICE를 진행합니다.
① 침상운동: 이전 침상운동 지속, 브릿지 운동, 고관절 외회전(중간볼기근) 운동
-브릿지 운동: 바르게 누운 자세에서 허리와 엉덩이를 들어 올립니다. 운동이 쉬워지면, 양 무릎에 고무밴드를 감고 운동을 실시합니다.
-고관절 외회전(중간볼기근) 운동: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발을 붙이고 양 무릎사이를 벌리고 오므리기를 반복합니다. 운동이 쉬워지면, 양 무릎에 고무밴드를 감고 운동을 실시합니다.
② 관절가동범위 증가 운동: CPM 120도, 선자세에서 무릎 완전 폄운동(고무밴드이용)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 CPM 운동 동안 120도 각도에 도달하도록 노력합니다. 90 ~ 120도 각도까지 무릎 굽힘의 각도가 유지되어야 합니다.
-선자세에서 무릎 완전 폄운동(고무밴드이용) : 고무밴드를 무릎에 감고 무릎의 마지막 범위 폄운동을 진행합니다.
③ 보행훈련: 부분~완전 체중부하 훈련, 보조기구 없이 걷기 훈련
-체중부하 훈련 : 담당 선생님의 허락 후 안전하게 체중부하 훈련합니다. 중심을 잃어버리지 않게 잡을 수 있는 의자, 책상, 손잡이를 두고 진행합니다. 좌우, 앞뒤, 한발 서기를 훈련합니다. 통증이 없이 안전하게 운동 수행이 가능해지면, 바닥을 짚은 손을 떼고 완전 체중부하 훈련을 진행합니다.
-보조기구 없이 걷기 훈련 : 가까운 거리부터 보조기구 없이 걷기 훈련을 시작합니다.
오늘은 무릎 전치환술 후 자가운동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수술 후 몸도 마음도 무겁고 힘드시죠? 움직이지 않으면, 더욱 더 약해지고 힘들어질 뿐입니다. 수술 후 규칙적으로 운동해야만 수술한 무릎이 더 좋은 상태로 회복하게 될 것입니다.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건강과 회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당신을 응원합니다.
GIANGARRA, Charles E.; MANSKE, Robert C. Clinical Orthopaedic Rehabilitation: A Team Approach.(4ed) Elsevier Health Sciences, 2019.
'회복(recovery) > 무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깁스 제거 후(Splint off) 초기 무릎 자가 운동과 관리(내적 고정이 없는 경우) (2) | 2023.04.30 |
---|